본문 바로가기

묵상

7과. 다윗이 사울 왕을 용서했어요(사무엘상 24:1-7)



7과. 다윗이 사울 왕을 용서했어요(사무엘상 24:1-7)

#1 같은 상황, 다른 해석(24:1-7)
사울은 다윗을 찾기 위해 엔게디에 3천 명이나 되는 사람들을 이끌고 가서 수색 작업을 벌였습니다. 그런데 오히려 사울이 다윗에게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사울이 뒤를 보러 들어간 동굴에 있던 다윗과 다윗의 사람들은 같은 상황을 다르게 해석했습니다. 다윗이
사울을 죽이지 않으려 했던 이유는 사울이 여호와의 기름 부음을 받은 자였기 때문입니다. 비록 지금은 사울이 여호와께 버림받았으나, 여전히 사무엘을 통해 여호와께 기름 부음을 받은 왕이었습니다. 그 사실로 인해 다윗은 사울의 목숨을 해하지도 몸에 상처를 내지도 않고 옷자락만을 베었지만 그 사실만으로도 죄의식을 느꼈습니다. 다윗은 사울을 왕으로 세우신 이가 하나님이셨음을 철저히 인정했기에 그의 옷자락을 벤 것조차도 하나님의 권위를 범한 것 이라고 느꼈고, 자기 사람들이 결코 사울을 해치지 못하게 했습니다. 만약 하나님께서 권위를 세우셨지만 무능력하거나 불법을 저지르는 사람으로 인해 힘들어하고 있다면, 하나
님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견디는 다윗의 인내를 구하십시오.

#2 악은 악인에게서 난다(24:8-15)
다윗이라고 해서 자신을 괴롭히는 사울이 아무렇지도 않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본인은 사울을 해하려는 의도가 전혀 없음을 항변하여, 그 증거로 자신이 사울을 죽일 기회가 있었음에도 여호와의 기름 부음을 받은 왕이기에 그를 아꼈 다고 말합니다. 다윗은 자신의
억울함을 자신의 손으로 보복하는 것이 아니라 공의로운 재판장 되신 여호와 하나님께 맡깁니다. 그리고 다윗은 자신을 죽이려는 사울을 향해 땅에 엎드려 절하며 그를 아낍니다. 또 그러한 자신을 죽은 개나 벼룩으로 취급합니다. 사울이 여호와의 기름 부음 받은 자라는 이
유 하나 때문입니다. 다윗은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인정한 삶을 살았고, 그렇기에 다른 사람들에게서도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인정하는 왕'으로 대접을 받게 됩니다.

#3 때가 이르면 거두리라(24:16-22)
사울은 다윗이 자신을 죽일 수 있었지만 죽이지 않았다는 놀라운 말을 듣고 크게 울며 다윗에게 자신의 잘못을 고백합니다. 비록 이후에 도 계속 다윗을 죽이려 추격하지만 지금 이 순간만큼은 자신의 악함과 다윗의 의로움에 대해 정직히 인정합니다. 자신이 하나님의 뜻을
거역했다는 사실과 다윗이 자신에게 선을 베풀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다윗을 축복합니다. 나아가 다윗을 하나님이 세우신 왕으로 인정하고, 자신의 후손을 위해 자비를 구하기까지 했습니다. 사울의 아들 요나단이 다윗에게 말했던 것처럼 다윗이 최종 승자가 될 것을 사울도 인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당장은 눈앞에 어려움이 닥칠 수 있지만, 낙심하지 않고 선을 행하는 자를 하나님은 기억하시고 반드시 상주시는 분이심을 본문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