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영적 분별력 (출애굽기 32:1-6)
영적 분별력 출애굽기 32:1-6
#1 하나님께서 주시는 십계명을 받기 위해 시내 산에 올라간 모세는 오랜 시간 동안 아무런 소식이 없었습니다. 이에 대해 이스라엘 백성은 불안한 마음에 더 이상 기다리지 못하고 아론을 찾아가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합니다. “우리를 위하여 우리를 인도할 신을 만들라 이 모세 곧 우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사람은 어찌 되었는지 알지 못함이니라”(1절)
하나님께서는 분명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해 내셨으며, 광야에서도 구름기둥과 불기둥으로 이들을 지켜 주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백성은 이들을 인도하신 하나님만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당장 눈앞에 보이는 신을 만들라고 요구합니다. 그것도 오로지 이기적인 목적으로 말입니다.
이에 대해 아론은 백성에게 각자 소유 있는 금 고리를 가져 오라고 말합니다. 아론은 즉시 그것들을 가져다가 송아지 형상을 만들었습니다. 그러자 백성은 그 송아지 형상을 보며,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라고 말했습니다. 더 심각한 것은 아론과 이스라엘 백성이 그 우상 앞에 화목제와 번제를 드리며 즐거워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분명 하나님의 언약 백성으로서 마땅히 하나님만을 섬기며 순종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하나님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는 수단으로 여기고, 눈에 보이는 존재이길 요구하며 우상을 섬기는 죄를 범했던 것입니다.
#2 사람이 하나님 중심의 분별력을 갖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모세와 아론의 모습을 통해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백성들의 원망과 불평 앞에서도 죽음을 불사하면서 하나님의 편에 서 있었던 모세는 하나님 중심의 분별력을 가졌던 인물이었습니다. 반면에 모세가 시내산에 올라간 40일 동안 임시 지도자로 세워졌던 아론은 백성들의 잘못된 요구에 편승하여 백성들이 하나님을 떠나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고 그 앞에서 광란의 춤을 추도록 했습니다. 아론은 영적 분별력을 갖지 못한 안타까운 인물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마음보다 인간의 마음을 더 염려했던 아론은 결국 심각한 죄악의 주도자가 되고 말았습니다. 오늘날 모진 세속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야 할 모습입니다.